건강 라이프

2025 서울시 저출산·양육 부담 완화 정책 4가지

라일락스엔 2025. 3. 9. 22:07

 

 

 

서울시는 저출산 문제와 육아 부담을 덜기 위해 9가지 주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주거 안정, 육아 지원, 돌봄 확대, 그리고 사회적 안전망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 출산 가구의 주거 안정 지원

[새롭게 추진되는 주거비 지원 정책]

2025년 1월 1일 이후 자녀를 출산한 서울 거주 무주택 가구를 대상으로 주거비를 지원합니다.  

 

- 지원 내용 : 매월 30만 원씩 2년간 총 720만 원 지원.  
- 신청 방법 : '몽땅정보 만능키'에서 간단하게 신청 가능.

[신혼부부 대상 주택 공급 확대]
신혼부부와 출산 가구를 위한 맞춤형 주거 지원이 강화됩니다.  


- 내용 : 소형 아파트 및 신축 오피스텔 2,000호 추가 매입.  
- 특전 : 10년 후 대단지 아파트(미리내집)로 이주를 지원하며, 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우선 매수 기회를 제공.  
- 입주 일정 : 2025년 말 모집 예정.


2. 아이들을 위한 양육 및 돌봄 공간 확충

[서울형 키즈카페 확대]
아이들이 안전하고 즐겁게 놀 수 있는 공간을 늘립니다.  

 

- 현황 : 현재 130개소 운영 중.  
- 목표 :  200개소로 확충 예정.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 확대]
맞벌이 부부의 아침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등교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현재 : 10개소 운영.  
- 계획 : 25개소로 확대.

 

 3. 출산급여 및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지원

[출산급여 지원]

1인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임산부에게 실질적인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 지원 금액 : 90만 원.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지원]   
임산부의 배우자인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를 위해 출산휴가 급여를 제공합니다.  

 

- 지원 금액 : 80만 원.  
- 대상 : 2024년 4월 22일 이후 출산한 가구.  
- 신청 방법 : '몽땅정보 만능키'를 통해 신청.

 


위와 같은 사업들은 서울시가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발판이 되고 있습니다. 각 정책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몽땅정보 만능키'와 '우리동네키움포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