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5년 서울시 민생정책 7가지, 소상공인 폐업지원확대

라일락스엔 2025. 3. 8. 22:53

 

 

 

2025년은 한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국가정책이 대대적으로 확대되는 해입니다. 특히 소상공인의 안정적인 경영 환경 조성과 외국인의 성공적인 정착을 중심으로 7개의 주요 사업이 추진됩니다. 진행될 프로젝트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소상공인을 위한 ‘새 길 여는 폐업지원’ 사업 확대


폐업 전후 과정을 꼼꼼하게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기존 상·하반기 3,000명 모집에서 상시 4,000명 모집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지원 내용]
 

 - 점포 철거비, 임차료 등 최대 300만 원 지원.
 - 폐업 과정 전반에 대한 전문 컨설팅 제공.
 - 재창업 및 재취업을 위한 맞춤 지원 서비스 운영.
 

이 사업은 폐업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덜고, 재기를 위한 발판을 제공합니다.

 

 

2. 로컬브랜드 상권’ 사업으로 골목상권의 균형발전


지역의 역사·문화·관광 자원을 활용해 특색 있는 상권을 조성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매년 2곳씩 선정되던 것을 4곳으로 확대하여 성장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지원 내용]

  - 상권 브랜딩 전략 및 환경 개선.
  - 청년 창업가 육성 및 지역 경제 활성화.

 

이를 통해 소상공인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과 방문객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3. 프리랜서 에스크로’ 서비스로 공정한 근로 환경 조성

프리랜서와 발주자 간 불공정 거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이 도입됩니다.  

 

[서비스 개요]
 

 - 은행이 계약 대금을  보관하고, 업무 완료 후 프리랜서에게 지급.
 - 분쟁 발생 시 분야별 전문가 자문단의 상담 및 합의 지원

 

프리랜서들의 권익 보호를 위한 첫걸음이 될 이 시스템은 미수금 문제 해소와 공정성을 보장합니다.

 

 4. 소상공인 환경개선 사업

점포 내외부 환경 개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지원 정책이 확대됩니다.  

 

- 점포 리모델링 지원, 조명 설치, 디자인 개선 등을 통해 고객 접근성을 높이고 매출 증대

 

5. 외국인 정착 지원

 

외국인이 안정적으로 한국 사회에 정착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이 신설되었습니다.  

 

- 언어 교육, 취업 알선, 문화 적응 프로그램 제공.
- 안정적인 거주를 위한 임대 주택 지원 확대.

 

외국인의 성공적인 정착은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6. 청년 창업 지원 프로그램 강화

청년 창업가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이 확대되었습니다.  

 

- 창업 교육, 초기 자금 지원,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 스타트업이 성공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생태계 조성.

 

 

 

7. 지역 기반의 ‘공동체 상생 프로그램

지역 주민과 기업이 함께 협력하는 프로젝트로, 지역 경제와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 공동 마케팅, 지역 행사 지원을 통해 지속 가능한 경제 모델 개발.